반응형
왼쪽 화면은 콘솔에 출력된 게임 진행과정이다
player 클래스에서는
생성자로 이름을 받고
게임이 끝났을 때, 결과를 win/lose로 나누어서 전적 관리를 한다
그래픽 클래스는 말 그대로 콘솔에 보기 쉽게 출력하기 위해서 만든 클래스이다
printTong 함수는 찌를 수 있는 공간이라면 즉, 빈 공간인 경우에는 0을 출력
그렇지 않다면 X를 출력해준다
그리고 15개씩 끊기 위해서 가정문으로 15개가 한 줄에 채워졌을 때 \n을 넣어준다
통아저씨 클래스에서는 주석처리를 잘해놔서 따로 부연설명 X
메인에서는 Scanner를 통해 유저들을 등록해주고
통아저씨의 구멍을 30개로 지정한 후에 게임을 시작한다
턴을 넘기는 과정이 생각보다 단순하면서 어려웠는데
플레이어 2명이 각각 0,1이라고 생각했을 때
0 % 1 = 1 , 1 % 1 = 0
이렇게 해서 턴을 계속 바꿔준다
그리고 해당 플레이어 턴이 진행되는 동안
미리 만들어둔 stab 함수를 통해 통아저씨를 찌르면서 게임이 진행되고,
만약 launched = 통아저씨가 날아갔다면
전적들을 관리해준다
나머지 세세한 설명은 주석 처리해두었다
반응형
'TIL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전화번호부 만들기 (0) | 2021.08.06 |
---|---|
Java 학교만들기 (클래스 나누기 복습) (0) | 2021.08.06 |
Java 행맨 구현 (0) | 2021.08.06 |
Java 사용가능한 비밀번호 출력 (BruteForce) (0) | 2021.08.05 |
Java Calendar 만들기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