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로의 한 걸음>
[책에서 밑줄 친 부분]
서버의 3가지 이용 형태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여 수동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형태 (이메일, 프린트 등) 무언가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일을 처리
- 서버가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형태 : 서버쪽에서 다른 서버와 기기 등의 상황을 감시하다 처리 시점을 정해서 일을 처리
- 높은 성능을 활용하는 형태 (AI 서버, 빅데이터 서버) PC에서는 할 수 없는 높은 성능이 요구되나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해 서버에서 독자적인 일 처리를 할 수 있다
서버의 2가지 일 처리 형태
- 입력한 데이터에 대해 신속하게 처리결과를 돌려주는 시스템(순발력 중시)
- 개별적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집계나 분석을 해주는 시스템으로 나뉘어진다(지구력 중시)
PC는 필요할때만 가동되고 사용자에게는 보여주는 표시 성능이 중요하나
서버는 24시간 운용되어야 하며 초기 셋팅 및 장애 조사, 복구 및 유지보수를 제외하고는 표시 성능을 사용할 일이 없기에
i/o 성능이 더욱 중요하다
- POP3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는데 이때 사용자의 메일 수신 설정에서 중요한 것은 메일을 요청하는 간격과 서버에서 메일을 삭제하는 타이밍이다
- DNS는 도메인명과 IP주소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DNS는 사용자 수와 네트워크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서 존재 자체가 바뀌기도 한다
- SSL은 인터넷상에서 통신을 암호화해, 악의를 가진 제 3자에 의한 도청이나 변조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브라우저의 URL 표시가 "http:"에서 "https:"로 바뀌어 있을 때는 SSL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 Proxy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통신을 대행하고 내부에 금지된 사이트를 보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의 부적절한 접속으로부터 클라이언트를 보호한다
- 서버에서 주도하는 처리는 조직의 시선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스포츠에서 신체 능력이 좋은 선수만 할 수 있는 플레이가 있는 것처럼 서버의 높은 성능이 없으면 할 수 없는 처리도 있다
- loT에는 디바이스가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형태와 부모가 되는 장치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가는 형태가 있다
- 시스템의 보안을 고려할 때는 지키고 싶은 정보 자산을 명확히 해야 하는데, 이때 정보 자산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데이터,인적자산,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그중에서도 데이터가 중요하며, 어떤 데이터를 다루는지에 따라 보안 대책은 달라진다
- 방화벽은 기업이나 단체 내부의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경계에서 통신의 상태를 관리해 보안을 지키는 구조이다
- DMZ란 내부 네트워크로의 침입을 막기 위해 방화벽과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하는 완충 지대를 만들어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 클러스터링은 메인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이고, 로드 밸런싱은 여러 곳으로 부하를 분산함으로써 장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이다
- 백업은 대기 시스템으로 불리는 서버 설치, 동일 서버 내에 백업용 디스크 증설, DVD나 테이프 등의 외부 미디어 활용 등의 방법으로 실현된다
변해가는 서버 도입
- 도입 검토 단계에서의 변화 : 예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없었으므로, 온프레미스로 직접 사내에 서버를 설치하는 게 기본이였다. 하지만 지금은 클라우드로 검토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다. 현재는 서버의 가격이 낮아져서 서버가 고장 나면 점검이나 부품 교환을 하지 않고 예비 서버로 교환한다
- 설계 구축에서의 변화 : 설계와 동작 확인이 필요 없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와 어플라이언스 서버가 개발되어 더 편리해졌다
- 서버의 성능 견적 : 탁상 계산(Default Method)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요한 CPU 성능 등을 쌓아 올려서 산출한다
서버의 운용관리
- 가동 후 관리에는 운용관리(시스템 운용 담당자), 시스템 보수(시스템 엔지니어) 두 가지가 있다
- 시스템의 운용 관리에는 운용감시와 시스템의 안정 가동을 위한 활동이 있다
- ITIL은 영국 정부 기관이 작성하는 IT 운용 가이드라인으로, 시스템 운용관리의 모범이나 기준이 되었다. 일상적인 운용 업무가 있으므로 도입은 아직 일부 단체와 기업에 한정된다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전체적인 성능 향상을 위한 기능 추가와 정상 운용을 위한 버그 수정 등이 있다
반응형
'Other efforts >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늘부터 개발자 ] - 김병욱 (7) | 2022.01.21 |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 이기곤 (0) | 2021.09.23 |
[Hello Coding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 아디트야 바르가바 (0) | 2021.08.25 |
[프로그래머의 길, 멘토에게 묻다] - 데이브 후버, 애디웨일 오시나이 (0) | 2021.08.17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 최원영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