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과 같이 테스트해보는 프로젝트를
메이븐 프로젝트로 생성하였다
기초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java/resources를 구분해야 한다
src/main/java : 자바 파일 관리
src/main/resources : 자원 관리
자바 파일은 말 그대로 코딩을 하는 파일들을 모아놓고,
자원 파일은 코딩할 때 필요한 자원들을 모아놓는다
그리고 pom.xml에 필요한 모듈들을 넣어놓는다
<pom.xml> 파일에 필요한 모듈들만 넣어놓은 모습
<테스트해 볼 클래스>
<자원 파일 : id를 정하고 class 명은 "패키 지명. 클래스명">
메인화면에서 스프링을 사용하기 전에는 생성자로 (new Transpotation) 만들어야 다른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었는데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context 모듈을 통해 접근하는 방식에서 원래 방식과 큰 차이가 있다
지금은 테스트용으로 bean이 한 개지만, 후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많이 생겨서 구분점으로 위에서 설정해 둔
'id' 값으로 원하는 bean을 가져온다
또한 context는 외부 자원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반환해주어야 한다
콘솔 출력 화면
반응형
'TIL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존객체 선택 (0) | 2021.08.15 |
---|---|
의존객체 자동 주입 (0) | 2021.08.15 |
스프링 설정 파일 분리 (0) | 2021.08.15 |
DI (Dependency injection) (0) | 2021.08.15 |
스프링 프레임워크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