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DI 란?(의존 주입) ]
-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유연성(ex: 장난감 배터리가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배터리가 떨어지면 배터리만 교체하면 된다)
- 배터리에 의존해서 배터리를 주입한다
<스프링 DI설정 방법>
- 컨테이너 안에 객체(bean)들이 있는데, 이때 커다란 객체 안에 또 다른 객체가 주입을 하는 것이 DI 형태
- 학사관리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가져오는 클래스를 dao라고 했을 때, dao에 의존하여 학생들의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등 기능들을 구현할 때 각각의 기능들은 dao에 의존하기 때문에 DI 프로그램 방법이다
반응형
'TIL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존객체 선택 (0) | 2021.08.15 |
---|---|
의존객체 자동 주입 (0) | 2021.08.15 |
스프링 설정 파일 분리 (0) | 2021.08.15 |
스프링 프로젝트 테스트 (0) | 2021.08.15 |
스프링 프레임워크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