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하나의 xml 파일에 모든 모듈을 넣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이다
- 일반적으로는 기능별로 구분해서 xml파일을 분리한다
- 기능별로 구분했기 때문에 xml 파일 이름을 기능의 이름으로 지정해서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문자열이기 때문에 3개로 나눈 xml 파일들을 배열로 구성해서 수정해준다
(필요로 하는 모듈들이 들어 있는 Ctx 파일들만 배열에 넣어서 사용하는 방식)
[ 빈(Bean)의 범위 ]
- 싱글톤(Singleton) :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빈(Bean) 객체의 경우 동일한 타입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한 개만 생성이 되며, getBean() 메서드로 호출될 때 동일한 객체가 반환된다.
- new ClassName();으로 생성자를 호출하면 중복해서 생성하지만 컨테이너는 만들어질 때, 오브젝트를 미리 만들어 담아놓아서 getBean()으로 호출만 해주면 된다
- 싱글톤은 default 값이다
- 프로토타입(Prototype) : 싱글톤 범위와 반대의 개념도 있는데 이를 프로토타입 범위라고 한다. 프로토타입의 경우 개발자는 별도로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스프링 설정 파일에서 빈 객체를 정의할 때 scope속성을 명시해 주면 된다
반응형
'TIL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존객체 선택 (0) | 2021.08.15 |
---|---|
의존객체 자동 주입 (0) | 2021.08.15 |
DI (Dependency injection) (0) | 2021.08.15 |
스프링 프로젝트 테스트 (0) | 2021.08.15 |
스프링 프레임워크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