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ther efforts/Employment

(27)
GitHub 포트폴리오 [ why? ] 1. 포트폴리오를 보고 평가하는 사람들은 시니어 개발자들이다 - 업계에서 최소 10년 이상 일한 분들이고, 그동안 수많은 포트폴리오를 보신 분들이다 - 웹페이지 포트폴리오로 이쁘게 꾸며놔도 시니어 개발자분들에게는 식상한 포트폴리오 중 하나일 뿐이다 - 껍데기가 아닌 본질(=코드)을 꿰뚫어 보시는 분들이다 2. 개발자 포트폴리오는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필요한 정보 =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설명 + 코드),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들을 담는 그릇 - 웹페이지 포트폴리오는 포장지(쓸데없는 사진들, CSS효과)로 필요한 정보를 감싸기 때문에 오히려 확인하게 불편하다 - 웹페이지 디자인에 신경 쓰느라 정작 중요한 프로젝트 설명이 부실한 경우가 많다 3. Git..
GitHub에 해야할 것들 Q. Git은 뭐고 Github은 뭔가요? (얄팍한 코딩 사전) A. https://www.youtube.com/watch?v=Bd35Ze7-dIw [ GitHub 링크를 제출하기 위해 해야 할 것들 ] 1. TIL 저장소 만들고 매일 학습한 내용 기록 -> TIL 저장소를 하루라도 빨리 만들수록, 내용이 풍부해진다 -> 잘 관리해두면, 취업을 위해 깃 헙 계정 제출할 때 든든한 아이템이 된다 2. 기술 서적, 학원 강의, 인강을 수강하며 작성한 코드를 올리는 GitHub 저장소 만들고 관리 -> 일일 커밋의 효용성 : https://jojoldu.tistory.com/402 일일커밋의 효용성 (일일커밋 그래프) 주변의 친한 개발자분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나는 현재 일일커밋 진행중이다. 일일커밋에 대한 자..
개발 블로그 & GitHub [ 취업할 때 개발블로그와 GitHub이 필요한 이유 ] 1. 비슷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갖추었다면, 개발블로그와 GitHub 링크를 추가한 지원자가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2. 개발 블로그와 GitHub으로 잠재력을 어필할 수 있다 - 신입 개발자 채용 시, 당장의 실력도 보지만 잠재력을 더 중요하게 평가한다 -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는 개발과 직접 관련된 내용만 담긴다 -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만 제출하면, 개발자로서 성장하는데 중요한 가치/능력들을 어필할 수 없다 - 거의 전공자들만 뽑는 회사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할 때, 개발 블로그와 GitHub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개발자들이 개발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 * 개발자로서 성장에 도움이 된다 - 공부한 내용과, 경험한 것들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설..
Team project 정의 회사에서 개발자로 일한다는 것은, 팀에 소속되어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 개발자는 개발 능력만 중요한 게 아니라 협업 능력도 중요하다 -> 협업 능력도 비중 있게 평가된다 프로젝트 경험과 협업 능력을 모두 어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팀 프로젝트 전공자들은 학교에서 팀 프로젝트를 여러 번 수행한다 비전공자들은 팀 프로젝트 경험을 자연스럽게 갖기는 쉽지 않지만,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비전공자가 팀 프로젝트를 만들 방법은 ? 1. 그룹 스터디 팀원들과 팀 프로젝트 진행하기 - 그룹 스터디 팀원들과 팀 프로젝트 진행하기 모르는 사람들이 만나서 프로젝트부터 만들면 서로의 실력도 모르고 신뢰도 없어서 진행이 힘들다 - 그룹 스터디를 진행 후, 성실하게 참여하는 스터디원들과 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 함께 ..
ToyProject 정의 개인 프로젝트 장난감(Toy)처럼 비교적 가볍게 만들고 활용하는 프로젝트 자신에게 필요해서 만들거나,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드는 프로젝트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아이템 [토이 프로젝트 주제 선택 방법] 개발 공부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만들고 싶은 프로젝트에 대한 고민 시작 + 기록 => 미리 생각해두지 않으면, 결국 흔한 주제를 선택하게 된다 => 흔한 주제 == 개발 강의에서 많이 다룬 주제 (게시판, 매모앱, To-do-List) => 흔한 주제들은 그만큼 개발을 연습하기에 적합한 주제들이기 때문에 무조건 낮게 평가받는 것은 아니다 => 하지만 토이 프로젝트는 포트폴리오에 넣기 위해 만들기 보단, 만들고 싶은 것을 즐겁게 개발한 결과물 이 어야 한다 => 프로젝트 주제를 미리 고민해두면..
개발자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에 대한 오해와 진실 ] Q.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이유는? 포트폴리오 제출이 필수는 아니다 포트폴리오 없이도 취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포트폴리오가 있으면 취업이 더 수월해진다 이력서 = 정량 평가 , 포트폴리오 = 정성 평가 이력서에 작성된 정보들만으로는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면접에 초대할 지원자를 추려내기 힘들다 포트폴리오는 지원자마다 편차가 꽤 큰 편이기 때문에, 이력서가 비슷하다면 포트폴리오로 우열을 가려야 한다 개발자를 조선시대에 비교하자면 선비가 아니라 도공(도자기 제작자) 개발 실력과 잠재력을 어필하는 포트폴리오 제출 오해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 (전혀 다른 개념) 포트폴리오는 웹페이지 형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프로젝트 동작 화면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프로젝트..
이력서에 담을 내용 [자격증 / 외부활동] [ 자격증 ] 자격증은 필수가 아니다 => 자격증이 없으면 기재 안 하면 되고 => 개발과 관련 없는 자격증은 기재하면 안 된다 (열심히 살아온 증표? NO!) => 단, 회사 도메인 / 비즈니스와 직접 관련된 자격증인 경우 기재해도 좋다 => 자격증이 이력서 평가에서 중요한가? - SI회사를 들어가려면 정보처리기능사/기사 취득하는 것이 좋다 - 취득일로부터 초/중/고급이 나뉜다 - 서비스 회사에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 외부활동 ] 개발과 관련된 세미나 / 콘퍼런스 / 커뮤니티 주최, 참여, 발표 해커톤 대회 참여, 기술 서적 집필 / 번역, 개발 강의 제작 등 오픈소스 기여 경험 (가장 좋은 외부활동) 외부 활동은 자격증보다 더 의미 있는 이력이 된다 => 개발자로서 성장하려는 의지 => 다른 ..
이력서에 담을 내용 [프로젝트 경험, 교육/학력] [프로젝트 경험] 이력서에는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 자세한 설명은 포트폴리오에 작성하자 간략한 설명? => 프로젝트 제목 및 개요 => 개발 기간 => 참여 인원 & 자신의 역할 (팀 프로젝트) => 기술 스택 (주요 기술들만 나열, 가능하면 버전 명시 / 다른 버전과의 차이점 질문에 대한 답변 준비) => 주요 개발 내용 / 문제 해결 경험 / 성과 => 면접에서 가장 많은 질문을 받기 때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자 => 포트폴리오 링크 + Demo 링크 / Github 저장소 링크 + Demo 링크 프로젝트 경험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 외부 교육이나 그룹 스터디 등이라도 어필하는 것이 좋다 => 개발자로서 진지하게 성장하려는 노력과 의지 어필 [교육 /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