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ther efforts/Employment

(27)
이력서에 담을 내용 [기술 스택, 경력] [ 기술 스택 ] 직접 사용해 본 기술 + 열심히 학습했던 기술 나열 지원하는 회사의 기술스택을 먼저 파악 후, 기술 스택 순서 조정 및 강조 표시 개발 언어를 3개 이상 나열하는 것은 지양(신입 개발자 기준) ( 개발을 오래 하지 않은 신입이 개발언어가 여러개 있다는 걸 시니어 개발자들은 믿지 않는다 ) 기술 스택에 쓰지 말아야 할 기술은 ? => 면접에서 그 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질문에도 답변할 수 없는 기술들 => 온라인 강의를 보고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해 본 기술들 (클론 코딩) => Eclipse, Intellij, Vscode 등 에디터/ IDE => HTTP, Ajax 등 기반 기술들 숙련도 표시 금지! [ 경력 ] 개발과 관련 없는 경력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 간략하게 작성 경력은 역순..
이력서에 담을 내용 [프로필, 자기소개] 프로필 이름(필수) / 생년월일 / 연락처 / 이메일(필수) / Github 주소(필수) / 블로그 주소(필수) / 운영 중인 서비스 Ex) 커뮤니티를 좋아하고, 좋은 코드의 설계를 고민하는 엔지니어 ***입니다 사진?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 사진이면 넣어도 좋다 간략한 자기소개 3~5줄 사이로 간략하게 작성. 짧아야 읽는다. 길면 읽을 시도 조차 안 한다 명언이나 좌우명 금지 구구절절 설명 금지, 간결한 문체로 핵심만 전달 목적은 본인이 어떤 개발자인지 표현하는 것 노력하는 개발자, 열정적인 개발자, 개발이 재미있다 등의 표현은 식상하다 핵심 키워드 : 빨리배우고 / 어디서든 잘 적응하고 / 커뮤니케이션 잘하고 / 꾸준히 학습,성장하는
올바른 이력서 작성법 이력서의 목적 이력서 작성 규칙 이력서 양식 이력서에 담을 내용 [ 이력서의 목적 : 꼭 맞춤법 검사기 이용 ] Q. 우리가 이력서를 작성하는 이유? A. 회사에 취업하기 위해서 Q. 회사가 이력서를 받는 이유? A. 면접 볼 지원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이력서만 보고 채용 X) Q. 이력서를 평가하는 사람은? A. 팀장 혹은 시니어 개발자 Q. 팀장 혹은 시니어 개발자의 특징은? A. 팀에서 가장 바쁘고 비싼 인력 / 이력서 읽을 시간 많지 않다 Q. 이력서를 평가하는 방식은? A. 30초 안에 훑어보고, 자격 요건에 맞지 않으면 바로 버려진다 Q. 자격 안되면 지원 불가능? A. 신입 개발자 채용에서는 잠재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Q. 우리의 이력서가 달 정해야 할 목적?A. 30초 안에 훑어봐도 중요 ..
개발자 이력서가 중요한가? 개발자 채용에서 이력서의 중요도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 => 기술직이 아닌 직업들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 개발자는 실제 개발 실력이 가장 중요한데, 이력서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 코딩 과제 or 코딩 테스트 먼저 진행한 후에 합격자들만 이력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바뀌는 추세 => 프로그래머스 같은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회사들이 채용 방식을 바꾸고 있다 (데브 매칭 등) => 코딩 과제 or 코딩 테스트 부터 진행하는 이유는? 이력서 검토 비용 감소 [ 하지만 비전공자들에게는 이력서가 여전히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 ] 비전공자들이 처음 취업하는 회사는 애초에 코딩 테스트가 없는 회사일 가능성이 높다 => 이력서가 여전히 중요한 평가 기준 개발자로 취업 하려는 비전공자 분들이..
개발자 취업 산업군 5대장 산업군(도메인)을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 산업군마다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 다르고, 중요시하는 기술이 다르다 산업군을 알아야 이력서와 면접에서 강조할 부분을 준비할 수 있다 산업군의 업황이 개발자 채용과 대우(연봉/복지 등)에 영향을 미친다 추후에 경력 개발자가 되어 이직할 때, 산업군이 정말 중요하다 [ 취업 5 대장 : 대체적으로 취업하기 가장 수월한 순서 ] 콘텐츠 (Content) SNS (카톡, 페북, 인스타, 소개팅 어플 등) Streaming (유튜브, Netfilx 등) Portal (Naver, Daum, Zum 등 : 포털 서비스) Information (뱅크 샐러드, 강남언니, 로켓펀치 등 특정분야에 대한 정보 제공) Community (네이버 카페, 에브리타임, 블라인드 등) 커머스..
개발자 - 좋은 회사 판단하는 방법 개발자 - 좋은 회사 판단하는 방법 취업하려는 회사의 정보는 정말 최대한 끌어모아야 한다 (기회비용을 중요시 여기자) [SI 회사] - 악덕 SI 구분법 : https://www.facebook.com/groups/codingeverybody/permalink/4294604973913339 [서비스 회사] 채용 공고 확인 (로켓펀치, 원티드, 잡플래닛, 프로그래머스, 더팀스, bilnd 앱) => 스타트업은 로켓펀치, 원티드에 많다 잡플래닛 평점/리뷰 확인 (회사에 종사했던 사람들의 리뷰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 유료) 자율 출퇴근 or 원격근무 가능 회사? : https://github.com/milooy/remote-or-flexible-work-company-in-korea Blind 앱에서 회사..
Service(Solution) 회사 - 개발자 서비스 회사 :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는 회사 [서비스 회사 장점] 개발하는 서비스(프로젝트)의 퀄리티를 중요시한다 개발자들을 회사의 중요한 자원으로 여긴다 실력과 잠재력을 갖춘 개발자들을 채용한다 실력 있는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는 환경이다 개발자 처우(연봉, 복지, 근무환경)가 좋다 개발자로서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추후 이직에도 유리하다 (선순환의 시작) 눈앞에 연봉과 빠른 취업을 목표로 두지 말고 선순환의 시작을 빠르게 할 생각하는 게 좋다 합리적인 개발 문화를 토대로 효율적으로 일한다 (비효율적이고 불필요한 업무 제거) 발전된 기술 스택을 적용하여 개발자들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다
SI 업계 - 개발자 SI 회사 - 개발자 SI 회사 : 다른 회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외주 형식으로 대신 개발해주는 회사 (링크에 모든 내용) [참고자료] SI 개발자의 현실 : https://www.popit.kr/si-%EA%B0%9C%EB%B0%9C-10%EB%85%84%EC%B0%A8%EC%9D%B8%EB%8D%B0-%EC%BD%94%EB%93%9C-%EC%A2%80-%EB%B4%90%EC%A3%BC%EC%84%B8%EC%9A%94/ SI 산업의 문제점 : https://okky.kr/article/501488 후배 개발자에게 (이건 정말 개인적으로 강추) : https://brunch.co.kr/@javajigi/4 SI 장점 : https://preamtree.tistory.com/132 SI 단점 : https:..